모리야마 가린(NPO법인 Grief Support House, 전 내각부 자살대책 추진실)
[1] 선진사례로서의 핀란드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핀란드의 자살대책을 선진사례로 꼽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핀란드가 국가 프로젝트로서 자살대책을 실시하여 자살사망률(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대폭 낮춘 나라이기 때문이다.
핀란드는 1974년 국회에서 자살대책의 필요성이 지적된 후, 1986년 부터 본격적으로 자살대책을 시작하였다. 당시 자살대책 추진은 보건사회부 장관이면서 본인도 자살 유가족이었던 에부 쿠스코스키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연구 면에서는 헬싱키대학(당시)의 J. 롱크비스트를 중심으로 당시 국립공중보건연구소(National Public Health Institute, KTL)에서 예비조사를 실시한 뒤, 1987년 4월 부터 1년간 핀란드에서 일어난 전체 자살의 96%에 대해 심리학적 부검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유가족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것은 총 1,397명의 자살자(남성 1,077명, 여성 320명)의 유가족 등에 대한 조사로서, 대상은 유가족 뿐만 아니라 죽기 전에 케어를 담당했던 관계자나 마지막으로 만났던 의료, 복지 관계자 등도 포함하는 것이었다.
참고로 심리학적 부검 조사란 자살 유족이나 자살자와 가까이 지냈던 사람들에 대해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살의 원인과 과정을 밝히는 기법이다. 그 결과를 통해 핀란드에서 자살의 주요 요인은 명확해졌고 그 후 국가 차원의 대책이 실시되었다.
핀란드에서 자살의 요인은 우울증이 70%로 나타났다. 1992년에는 핀란드의 자살예방 방침으로서 우울증에 대한 인식과 치료, 자살 미수자에 대한 지원, 알코올 소비의 감소 등이 이뤄졌다. 결과적으로 핀란드 자살사망률은 1990년에서 30.4였으나 2002년에는 21.1으로 되어 약 30%의 감소가 이뤄졌다.
헹싱키에서는 자살시도자에게 24시간 언제든지 전문가가 찾아가는 ‘SOS카’라고 불리는 활동이 실시되고 있다. SOS카를 가동하여 운영하고 있던 핀란드 정신보건협회는 자살 유가족을 위한 그룹도 운영하고 있다. 또 핀란드에서는 1992년부터 11월 19일을 ‘자살로 인한 희생자 기념일’로 제정하여 추모하고 있다. 핀란드 거의 전 지역에서 촛불 추모가 이루어지고, 매년 이 날을 기점으로 정신건강 주간이 시작된다.
[2] 일본 자살대책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자살예방종합대책센터에서 심리학적 부검 기법을 이용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자살대책이 정착되기 시작하면서 일본의 자살대책 관계자의 핀란드 방문조사도 많이 이뤄져 왔다. 내각부도 2010년에 핀란드에서 조사를 하였고, 그 내용을 자살대책백세어 “우리나라에서 효과적인 자살대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핀란드에서 진행된 자살대책 전반에 대해, 특히 유가족 조사 및 민간단체나 연구기관 등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펼친 활동을 적극 참고할 수 있다.”라고 적고 있다. 일본 변혼사연합회도 핀란드를 방문, 조사한 뒤에 2012년 10월 5일에 ‘강요된 죽음이 없는 사회를 목표로 실효성 있는 자살방지대책을 요구하는 결의’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핀란드 모델을 선진사례로 활용하면서도 사회적인 제도나 국민성이 다른 해외의 모델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검토하고 일본 독자의 모델을 확립하여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3줄 요약 및 앤디의 느낌]
1. 핀란드의 자살대책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하기에 일본에서도 핀란드의 자살대책을 많이 참고하였던 것 같다.
2. 핀란드 자살예방대책의 핵심은 전수에 가까운(96%) 자살사망자의 심리적부검을 실시하였던 것이 주요했다.
3.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심리적 부검을 실시하고 있긴 하나, 전수를 하지 않고서는 효과를 보는데에는 한계가 있기에 우리나라에 맞는 다양한 자살대책 마련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