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자핀(Clozapine): 효능, 효과, 부작용 및 주의사항클로자핀이란?클로자핀(Clozapine)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Atypical Antipsychotic)로, 주로 치료 저항성 조현병 및 조현정동장애 치료에 사용됩니다. 특히 다른 항정신병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이며, 자살 위험 감소 효과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클로자핀의 효능 및 효과치료 저항성 조현병 치료: 기존 항정신병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입니다.자살 위험 감소: 조현병 및 조현정동장애 환자의 자살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공격성 감소: 충동적 행동을 줄이고 정서적 안정을 돕습니다.클로자핀 성분의 대표적인 약물 5가지클로자릴(Clozaril) – 노바티스(Novartis)에서 개발한 오리지널 약물레..
올란자핀: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 치료의 효과와 오해의 진실올란자핀이란?올란자핀(Olanzapine)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주로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차단하여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올란자핀의 효능 및 효과조현병 치료: 환각, 망상 등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합니다.양극성 장애의 조증 및 우울증 치료: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를 안정시켜 조증과 우울증을 모두 관리합니다. 올란자핀 성분의 대표적인 약물 5가지자이프렉사(Zyprexa): 일라이 릴리(Eli Lilly)에서 제조한 오리지널 약물입니다.올자핀정: 국내 제약사에서 생산한 제네릭 약물입니다.산도스올란자핀정: 산도스(Sandoz)에서 제조한 제네릭 약물입니다.영진올란자핀정:..
리스페리돈(리스페달): 조현병 치료의 효과와 오해의 진실리스페리돈이란?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2세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주로 조현병(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파괴적 행동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동시에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리스페리돈의 효능 및 효과조현병 치료: 환청, 망상 등 정신병적 증상을 완화합니다.양극성 장애의 조증 치료: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를 안정시킵니다.파괴적 행동 장애 치료: 과도한 공격성 및 자해 행동을 감소시킵니다. 리스페리돈 성분의 대표적인 약물 5가지리스페달(Risperdal): 오리지널 브랜드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리페리돈정: 환인제약에서 제조한 제네릭 약물입니다.리스돈정: 다른 국내..
알프라졸람(자낙스): 불안장애 치료의 효과와 오해의 진실알프라졸람이란?알프라졸람(Alprazolam)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신경안정제로, 주로 불안장애, 공황장애, 우울증과 동반된 불안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자낙스(Xanax)'라는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신속한 효과로 인해 다양한 정신과 질환의 증상 완화에 활용됩니다.알프라졸람의 효능 및 효과불안장애 치료: 일반적인 불안장애의 증상을 완화하여 일상생활의 불편을 줄여줍니다.공황장애 치료: 갑작스러운 공포와 불안을 동반하는 공황발작의 빈도와 강도를 감소시킵니다.우울증과 동반된 불안 완화: 우울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불안 증상을 경감시켜 전반적인 정신 건강을 개선합니다. 알프라졸람 성분의 대표적인 약물 5가지자낙스(Xanax): 가장 널리 ..
플루옥세틴(프로작): 우울증 치료와 오해의 진실플루옥세틴(프로작)이란?플루옥세틴(Fluoxetine)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의 항우울제로, 주로 우울증, 강박장애, 신경성 폭식증, 공황장애, 월경전 불쾌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미국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Eli Lilly and Company)에서 개발하여 '프로작(Prozac)'이라는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플루옥세틴의 작용 기전플루옥세틴은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세로토닌의 농도를 높입니다. 이를 통해 기분을 안정시키고 우울증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플루옥세틴의 부작용다른 약물과 마찬가지로, 플루옥세틴도 일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종류와 대표 약물, 그리고 편견과 진실정신건강의학과 약물의 종류정신건강의학과에서 사용되는 약물은 다양한 정신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기 위해 처방됩니다. 주요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항우울제: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세로토닌이나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조절합니다.항불안제: 불안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신경계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합니다.항정신병제: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의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증상을 완화합니다.기분 안정제: 양극성 장애 등에서 기분의 급격한 변화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수면제: 불면증 등의 수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면을 유도하거나 유지하는 데 도움을..
1. 정신건강사회복지사란?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정신건강 문제를 겪는 개인과 가족을 돕고, 심리적·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는 전문 사회복지사입니다. 이들은 병원, 상담센터, 복지기관 등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격 요건 및 교육과정✅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자격 요건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취득: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되려면 먼저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이 필요합니다.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 과정 이수: 사회복지사 1급 취득 후, 정신건강 분야에서 일정 기간 수련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의 심사 및 자격 취득: 수련을 마친 후, 협회의 심사를 통과하면 공식적인 정신건강..
[1日1學]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DSM-5, 관해에 관하여, 부분 관해, 완전 관해 오늘 할 공부는, 어제 공부하였던 진단명에서 나오는 완전 관해와 부분 관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관해의 뜻을 살펴보려고 한다. 관해 완해(緩解; relief of pain)라고도 한다. 어떤 중독(重篤; seriousness)한 질환(疾患; disorder)의 경과과정에서 자 · 타각적증상(自 · 他覺的症狀; signs and symptoms) 또는 검사성적(檢査成績; inspection result)이 일시적으로 호전하거나, 또는 거의 소멸된 상태를 말한다. 백혈병(白血病; leukemia), 또는 림프종(~腫; lymphoma) 등처럼 예후(豫後; convalescence..
[1日1學]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진단코드 오늘 할 공부는, F 코드로 불리우는 주요 질환에 대한 코드명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로 언급되는 질환명이며, 보건복지부에서도 치료비 지원 등을 지원하는 주요 질환입니다. F20.81 조현양상장애 F20.9 조현병 F21 조현형 성격장애 F22 망상장애 F23 단기 정신병적 장애 F25.0 조현정동장애, 양극형 F25.1 조현정동장애, 우울형 F28 달리 명시된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F29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F31.0 제Ⅰ형 양극성장애, 현재 또는 가장 최근 경조증 삽화 F31.11 제Ⅰ형 양극성장애, 현재 또는 가장 최근 조증 삽화, 경도 F31.12 제Ⅰ형 양극성장애, 현재 또는 가장 최근 조증 ..
■ 위기 영역 사람마다 위기 상황의 내용은 다양하다. 따라서 위기개입 전문가는 개인의 따라, 그리고 사건에 따라 각각의 위기가 가지는 독특성을 볼 수 있어야 한다. 브래머(Brammer, 1985: 94~95)는 적용된 위기이론을 다음의 세가지 영역으로 보았다. ①발달적 위기, ②상황적 위기, ③실존적 위기, 여기서는 생내체계이론의 시각에서 네 번째 영역으로 ④환경적 위기를 추가하였다. # 발달적 위기 - 발달적 위기는 인간이 성장하고 발달해 나가는 흐름에서 발생하는 극적인 변화나 전환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반응이 발생하는 사건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아이의 출생이나 대학 졸업, 중년기의 직업 변화, 은퇴, 노화 과정과 같은 사건들의 반응으로 발달적 위기가 나타날 수 있다. - 발달적 위기는 정상적인..
교육부의 학교기반 자살예방정책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요구 탐색 및 향후 방향성 모색 김준범・홍성희・홍현주(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교육문화연구 제25권 제5호(2019), pp. 5~31 #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정책은 자살예방기본계획 내의 생애주기별 전략에 포함되어 있는 정도로만 존재하여 성인 자살예방 정책 추진 활동에 비해 대책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진경과도 다소 미약한 수준에 있다(김호경, 신동희, 2015). # 모든 청소년이 학생은 아니다. 그리하여 교육부의 자살예방정책은 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하지만 19세 미만 청소년의 약 85%1) 이상이 학생임을 감안할 때, 국가적 차원의 청소년 자살예방정책에서 교육부가 포괄..
2020/11/04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예산과 효과 2020/11/03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저강도 개입(심리적 웰빙 실무자(PWP)의 Do, Don't 2020/11/02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PWP, HIT, 치료모듈 2020/11/01 - [[정신건강]] - [..
2020/11/03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저강도 개입(심리적 웰빙 실무자(PWP)의 Do, Don't 2020/11/02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PWP, HIT, 치료모듈 2020/11/01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고강도 개입(HIT) 2020/10/31 - [[정..
2020/11/02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PWP, HIT, 치료모듈 2020/11/01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고강도 개입(HIT) 2020/10/31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저강도 개입(심리적 웰빙 실무자(PWP) 2020/10/30 - [[정신건강]] - [루키..
2020/11/01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고강도 개입(HIT) 2020/10/31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단계, 저강도 개입(심리적 웰빙 실무자(PWP) 2020/10/30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비용 및 비용과 측정 2020/10/29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
2020/10/24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이해 및 역사 2020/10/25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특징 및 우선순위 2020/10/26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서비스 기준 및 국가표준 2020/10/27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2020/10/24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이해 및 역사 2020/10/25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특징 및 우선순위 2020/10/26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서비스 기준 및 국가표준 2020/10/27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2020/10/24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이해 및 역사 2020/10/25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특징 및 우선순위 2020/10/26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서비스 기준 및 국가표준 2020/10/27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2020/10/24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이해 및 역사 2020/10/25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특징 및 우선순위 2020/10/26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서비스 기준 및 국가표준 2020/10/27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2020/10/24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이해 및 역사 2020/10/25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특징 및 우선순위 2020/10/26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향상), IAPT의 서비스 기준 및 국가표준 2020/10/27 - [[정신건강]] - [루키의 공부] IAPT(Improving Access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