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69 우리 사회는 어떤 형태로든 성공을 이상화하며 실패 가능성을 평가절하하고 두려워하도록 가르쳤다. 성취 중심 문화에서는 성공적인 결과를 지나치게 강조하며, 이는 곧 인간으로서의 우리 가치와 동일시된다.
P270 가족, 문화, 사회 규범 중 어느 것이 당신에게 성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뿌리 깊은 두려움을 주었는가?
P271 당신은 누구의 반응이 더 익숙한가? 두려움에 바탕을 둔 스튜의 생각은 전부 ‘결과’와 관련이 있다. 그는 스스로 의심하며 이 새로운 시도에 의문을 품고 있다. 버트의 말은 배우고, 성장하고, 기대할 수 있는 것들에 초점을 맞춘다. 고민도 있겠지만, 그의 궁극적인 혼잣말은 ‘과정’에 집중하는 것은 물론, 호기심과 긍정으로 가득차 있다.
728x90
P271 # 결과가 아닌 과정에 만족하기 우리의 자존감이 단순히 우리가 노력을 기울였고 새로운 것을 시도할 만큼 충분히 용기가 있었음을 아는 데서 비롯된다면, 우리가 ‘성공’하든 ‘실패’하든 그 ‘과정’ 자체에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는 성공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도 그렇지만 사회와 문화 자체가 그러한 것 같습니다.
어설픈 성공은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큰 성공을 해야만 성공했다고 인정해 줍니다. 그렇게 되면 작은 성공은 지칠 수밖에 없습니다. 작은 성공의 경험이 쌓여 큰 성공을 하는 것인데, 작은 성공이 인정을 받지 못하면 큰 성공이 가능성은 줄어들 수 박에 없습니다.
제가 읽은 책 중에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는 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반복되는 행복이 더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처럼 작은 행복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TIP
이 문제를 바라보는 또 다른 방법은 스포츠 심리학과 운동선수의 성공에서 바라본 ‘도전’ 대 ‘위협’ 심리다.
우리는 잘못될 모든 가능성에 지나치게 집중하여 경험을 위협으로 볼 수도 있고, 우리가 시도하고 궁극적으로 배움을 얻을 수 있는 도전으로 볼 수도 있다.